본문 바로가기

Backend/DB

Json in DB

DB의 컬럼 안에 json 파일이 있을 경우,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이 떨어진다(속도가 느려지는등..)

빠르게 개발을 진행해야 할 경우, 컬럼 안에 Json을 써서 데이터를 파싱해서 가져오는 형식을 쓰는 것 같다.

 

그런데 Json 파싱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면서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기에 성능이 떨어지는지 궁금해졌다.

이를 알아보자..

 

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33660866/native-json-support-in-mysql-5-7-what-are-the-pros-and-cons-of-json-data-type

 

 

-> 현재 회사에서 일한지 7개월쯤 되고나니 알게된 사실

 

json string이 db안에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것이 아니고 db 구조가 정규화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된 것이다.

db 정규화는 좋은 REST API 설계의 기본이다.

db 정규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코드를 짜게되면 의도치 않게 스타게티 코드를 만들 수 있음을 경험하고 현재 RDB에 대한 책을 정독하는 중이다.

 

 

'Backend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ull은 언제 허용해야 하는가?  (0) 2021.07.20
mysql - like문  (0) 2021.07.13
db의 유효성 검사기준을 확인하자 - sql_mode  (0) 2021.07.09
why ORM?  (0) 2021.07.05